25년도 어느덧 한 달이 지났습니다. 1월에 연봉인상이 되는 회사도 있겠지만 보통 2월 또는 3월이나 4월부터 적용되는 회사들이 대부분 일 것입니다.
그렇다면 연봉이 오르면 세금은 얼마나 많이 오를까요?
5천만 원, 1억 원, 1억 5천만 원 소득의 세금 차이를 계산하고 비교해 드리겠습니다.
1. 소득세 계산 방식
소득세는 과세표준에 따라 누진세율이 적용됩니다.
그리고 과세표준이 높아질수록 세율이 증가합니다.
2025년 기준 소득세율
소득구간 | 세율 |
1,200만 원 이하 | 6% |
1,200만 원 ~ 4,600만 원 | 15% |
4,600만 원 ~ 8,800만 원 | 24% |
8,800만 원 ~ 1억 5천만 원 | 35% |
1억 5천만 원 ~ 3억 원 | 38% |
3억 원 초과 | 40% |
2. 소득별 과세표준 및 세금 계산
근로소득공제를 반영하여 소득 대비 과세표준을 산출하였습니다.
(1) 5천만 원
* 과세표준: 약 3,220만 원 (근로소득공제 반영)
* 세율: 6%, 15% 적용
* 세금 계산:
1,200만 원 × 6% = 72만 원
(3,220만 원 - 1,200만 원) × 15% = 303만 원
총 세금: 375만 원
(2) 1억 원
* 과세표준: 약 9,040만 원 (근로소득공제 반영)
* 세율: 6%, 15%, 24%, 35% 적용
* 세금 계산:
1,200만 원 × 6% = 72만 원
(4,600만 원 - 1,200만 원) × 15% = 510만 원
(8,800만 원 - 4,600만 원) × 24% = 1,008만 원
(9,040만 원 - 8,800만 원) × 35% = 84만 원
총 세금: 1,674만 원
(3) 1억 5천만 원
* 과세표준: 약 1억 4,040만 원 (근로소득공제 반영)
* 세율: 6%, 15%, 24%, 35% 적용
* 세금 계산:
1,200만 원 × 6% = 72만 원
(4,600만 원 - 1,200만 원) × 15% = 510만 원
(8,800만 원 - 4,600만 원) × 24% = 1,008만 원
(1억 4,040만 원 - 8,800만 원) × 35% = 1,830만 원
총 세금: 3,420만
정리
소득 | 괴세표준 | 세율 구간 | 총 세금 |
5천만원 | 3,220만원 | 6%, 15% | 375만원 |
1억원 | 9,040만원 | 6%, 15%, 24%, 35% | 1,674만원 |
1억5천만원 | 1억4,040만원 | 6%, 15%, 24%, 35%,38% | 3,420만원 |
4. 결론
소득이 증가할수록 누진세율의 적용으로 인해 세금 부담이 가파르게 상승한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예를 들어, 연 소득이 5,000만 원일 때 세금은 약 375만 원입니다. 그러나 소득이 두 배인 1억 원으로 증가할 경우, 세금은 1,674만 원으로 약 5배가량 급격히 상승합니다.
이처럼 고물가 시대에 연봉 1억 원을 받아도 쪼들리는 것이 현실입니다. 연봉 1억 원을 받는 것도 매우 어렵지만, 그마저도 고액 연봉으로 분류되어 과도한 세금 부담을 지게 됩니다.
대한민국 경제의 허리이자 버팀목 역할을 하는 것은 다름 아닌 근로자들입니다. 하지만 정책 논의는 늘 법인세 인하에 집중되어, 실제로는 기업과 고소득자가 설립한 가족 법인에 혜택을 주는 결과만 낳고 있습니다.
이제는 근로소득세 인하에 대한 논의가 반드시 필요할 때입니다. 근로자들이 실질적인 경제적 여유를 누리고, 소비 여력을 높이는 것이 경제 활성화의 중요한 출발점이 되어야 합니다.
'회사 이야기 > 인사기본'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5년 연말정산 (2024년 귀속 연말정산) 주요 개선사항 (1) | 2024.12.05 |
---|---|
2024년 귀속 연말정산 개정 세법 총 정리 (2025년 연말정산) (51) | 2024.11.10 |
2023년 귀속 연말정산 세법개정내역 (0) | 2023.11.10 |
[인사] 식대 비과세 (4) | 2023.02.27 |
[인사기본] 사회초년생을 위한 연말정산 절세방법 (0) | 2022.11.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