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공부는 평생하는 것이다48

로그 파일 확인할 때 유용한 명령어 (리눅스 및 유닉스) 부재 : 이건 꼭 알아야 해! 리눅스 명령어. 로그 파일을 확인할 때 유용한 명령어는 운영 체제에 따라 다르지만, 주로 사용되는 몇 가지 명령어가 있습니다. 아래는 리눅스 및 유닉스에서 자주 사용되는 명령어입니다.. Linux 및 Unix 기반 시스템: tail 명령어 > tail 명령어는 파일의 마지막 행을 기준으로 지정한 행까지의 파일 내용 일부를 출력해주는 명령어입니다. 주로 리눅스에서 오류나 파일 로그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때 매우 유용하게 사용됩니다. 기본값으로는 마지막 10줄을 출력하며, 자주 사용하는 옵션으로는 -f, -n, -c, -q, -v 등이 있습니다. -f : tail을 종료하지 않고 파일의 업데이트 내용을 실시간으로 계속 출력한다. -n (라인 수) : 파일의 마지막줄부터 지정한 라.. 2023. 12. 17.
기초 리눅스 명령어 부재 : 이건 꼭 알아야 해! 리눅스 명령어. 주니어 개발자의 경우 자바, 파이썬 등의 언어만 공부했지, 리눅스는 전혀 접해보지 않은 경우가 종종 있습니다. 리눅스는 GUI 방식이 아니기 때문에 명령어를 모르면 아무것도 할 수 가 없습니다. 아래에 나와있는 몇 가지 핵심 명령어만 알고 있다면 기본적인 서버 관리 및 작업을 수행하는 데 충분합니다. 이러한 명령어들을 숙지하면 리눅스 서버에서의 기본적인 파일 및 디렉토리 관리, 권한 설정, 프로세스 확인, 디스크 관리 등의 작업을 수행하는 데 어렵지 않을 것입니다. 필요에 따라 더 고급진 명령어나 특정 도구들을 학습하면서 리눅스도 금방 능숙해질 것입니다. 가장 기초가 되는 명령어 1. 파일 및 디렉토리 관리 ls 명령어 > 현재 디렉토리에 있는 파일과 디렉토.. 2023. 12. 16.
자주 사용하는 서버 및 쉘스크립트 명령어 (인트로) 인프라 엔지니어가 아니라서 권한도 없고, 쿠버네티스, Docker, Jenkins 를 통해서 배포를 하다 보니 딱히 서버에 접속할 일이 없는 개발자들도 가끔식 서버에 접속해야 할 일이 있을 것입니다. 그런 경우 익숙하지 않은 환경에 명령어도 잘 몰라서 헤매는 경우 많은데요. 그럴 때를 위해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는 명령어 몇 개를 정리하였습니다. 아래 명령어만 알아도 이따금씩 서버에 접속에 불편함이 없을 것입니다. 유용한 쉘 스크립트 명령어 가장 기본이 되는 명령어 ls, cd, cp, mv 등 로그파일 확인할 때 유용한 명령어 tail, head, wc, cat 등 그 외 vi 편집기 사용법 쉘 스크립트 기초 문법 2023. 12. 15.
AI로 본 2024년 데이터 엔지니어링 트랜드와 혁신 예측 2024년 데이터 엔지니어링 트랜드와 혁신 예측 데이터 엔지니어링은 끊임없는 혁신을 거듭하며, 2024년에는 몇 가지 흥미로운 트랜드와 혁신이 기대됩니다. 1. 실시간 데이터 처리의 부상 2024년에는 기업들이 빠르게 변하는 환경에 대응하기 위해 실시간 데이터 처리에 더 많은 중점을 둘 것으로 예상됩니다. 스트리밍 데이터 플랫폼과 이벤트 기반 아키텍처의 도입이 증가할 것 입니다. 2. AI 기반 데이터 품질 관리 인공지능을 활용한 데이터 품질 관리 솔루션이 더 많이 사용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는 데이터 정확성과 일관성을 유지하는 데 도움을 줄 것입니다. 3. 자동화와 오토메이션의 증가 데이터 엔지니어링에서의 작업 자동화가 더욱 중요해질 것입니다. 코드 자동화, ETL 프로세스 자동화, 그리고 클라우드 .. 2023. 11. 29.
[IT/SQL] 오라클 SELECT 동작 원리 와 순서 오라클의 SELECT 쿼리 동작 원리와 순서는 다음과 같습니다: 1. FROM 절: 쿼리의 대상이 되는 테이블이나 뷰를 지정합니다. 2. WHERE 절: 데이터를 필터링하는 조건을 지정합니다. 여기서는 조건에 맞는 행만 선택됩니다. 3. GROUP BY 절: 특정 열을 기준으로 그룹을 지정할 수 있습니다. 4. HAVING 절: GROUP BY로 그룹화된 결과에 대한 조건을 지정합니다. 5. SELECT 절: 필요한 열을 선택합니다. 여기서는 실제로 결과에 표시될 열을 선택합니다. 6. ORDER BY 절: 결과를 정렬합니다. 7. OFFSET 및 FETCH (Oracle 12c 이상): 페이징을 위해 일부 결과를 건너뛰고 가져올 수 있습니다. 이러한 단계를 통해 오라클은 사용자가 지정한 쿼리에 따라 데.. 2023. 11. 28.
[IT/DATA] 데이터 레이크 하우스란? 최근 데이터 플랫폼의 방향은 '데이터 레이크하우스' 입니다. 데이터웨어하우스, 데이터레이크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서 만들어진 개념입니다. 데이터레이크는 데이터웨어하우스로 수용하기 힘든 비정형 데이터 활용에 초점을 둔 아키텍처입니다. 초기의 데이터레이크는 데이터웨어하우스와 병존했는데, 데이터레이크와 DW을 단일 플랫폼으로 통합하자는 아이디어로 데이터레이크하우스가 고안되고 있습니다. 관리 부담을 줄이면서, 활용 수준을 높이는 게 주요 목표입니다. 아래는 데이터레이크하우스에 대한 설명입니다. zdnet을 참조하였습니다. ■ 데이터레이크하우스 조직 내에서 데이터 활용 수요가 늘어나고 다양해지면서, 관계형 형식으로 여러 컴퓨팅 노드에서 병렬로 방대한 양의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는 최신 데이터웨어하우스 아키텍처를 .. 2023. 9. 11.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