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러분은 취업을 하기 위해서 나름 열심히 대학교에서, 전문학원에서, 취업하면서 열심히 공부를 하였을 것입니다. 하지만 공부를 하면 할수록 부족함을 느끼게 됩니다. 그러면서 생각하게 되죠. 경력이 쌓이면 전문가라 할 수 있는 실력이 생길까? 우선 전 이 질문에 충분히 가능하다고 말씀드리고 싶습니다. 하지만 단순히 회사일만 열심히 한다고 전문가가 되지 않는다고 단호히 말씀드리고 싶습니다.
처음 몇 년간은 회사에서 일하면서 배우는 것만으로도 충분하다고 느끼게 됩니다. 그도 그럴 것이 회사 프로세스를 이해하고 업무를 파악하는 것만 해도 벅차거던요. 하지만 몇 년이 흐르면 일에 익숙해지면서 회사에서의 일이 배움보다는 해결해야 할 문제로 여겨지게 됩니다. 그때부터는 나의 경력이 내 것이 아니게 되는 거죠.
아무리 훌륭한 일타강사가 강의하는 수업이라 할지라도 단순히 강의만 들으면 그 수업을 다 이해하진 못합니다. 수업 끝나고 복습 예습을 해야 그 강의가 내 것이 되는 것이죠. 회사일도 마찬가지입니다. 퇴근 후에 복습 예습을 해야 합니다. 특히 IT는 변화가 빠른 업종이기 때문에 반드시 공부를 해야 합니다.
그러면 어떻게 해야 전문가가 될 수 있을까요?
1. 호기심을 가져라.
특히 신입일 때는 호기심을 많이 가져야 합니다. 개발을 하거나 선배들이 만들어 놓은 소스코드를 보면 왜 이렇게 만들었는지 궁금증을 가져야 합니다. 그래야 성장할 수 있습니다.
절대 사용법 익히듯이 하지 마시기 바랍니다. 잘 만들어진 소스코드가 있다면서 복붙 하지 마시기 바랍니다.
당장 해결해야 할 일이 있기 때문에 업무시간 중에 소스 분석하고 있을 수 없다는 사실을 잘 알고 있습니다. 솔직히 모른다고 해서 당장에 업무에 영향이 가지도 않습니다.
하지만 반드시 궁금해야 합니다. 단순히 만들어진 것은 없습니다. 어떠한 기술적 이유가 있어서 일 수도 있고, 그 당시의 상황상의 이유일 수도 있습니다. 그러한 것들을 배워나가면서 우리는 성장해야 합니다.
2. 오지랖을 떨어라
옆에 선배들끼리 어떤 의견을 주고 받을 때가 있습니다. 그러면 그냥 옆에 서서 구경하듯 무슨 이야기를 하는지 들으세요. 신입 때는 그게 가능합니다. 궁금하다 싶은 회의가 있으면 같이 참석하고 싶다고 말하세요. 괜찮습니다.
경력이 어느 정도 있으신 분들은 다른 업무, 또는 다른 팀은 무슨 일을 하는지 물어보세요. 커피 한잔 하면서 자연스럽게 물어보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다른 팀의 분위기나 상황을 파악하는 것도 좋지만 타 시스템 또는 타 업무를 파악하는 것은 정말 중요합니다. 만약 내가 담당하고 있는 업무나 시스템만 관심을 가진다면 절대 전체적인 아키텍처를 그릴 수 없습니다. 뿐만 아니라 내가 담당한 시스템에 고립되어 버리는 한계가 발생합니다. 이런 경우 이직하고 적응하는데 상당한 고생을 겪게 됩니다.
3. 스터디그룹에 참여해라.
꼭 스터디그룹이 아니더라도 카페나 기타 여러 커뮤니티에 참여하기를 권장합니다. 혼자서 책을 보고 동영상 강의를 보면서 공부할 수 있다면 괜찮을 수는 있습니다. 하지만 혼자서 공부하기에는 참 어려움이 많습니다. 회사일만으로도 충분히 피곤한데 퇴근하고 집에서 공부까지 하려고 하면 정말 죽을 맛이 아닐 수 없습니다.
공부가 취미라서 혼자서도 공부를 잘 한다고 해도 스터디그룹은 추천 드립니다. 이러한 커뮤니티 활동을 통해서 인맥과 남들의 경험을 쌓아갈 수 있습니다. 분명 혼자서 공부하는 것보다는 득이 더 많습니다.
4. 자격증을 취득해라.
취업하기 전까지는 열심히 취득하던 자격증을 회사 입사 후에는 절대 취득하지 않습니다. 자격증 자체를 취업용으로 생각하기 때문입니다. 이미 취업 했는데 굳이 자격증이 필요할까? 하는 의문이 들것입니다. 자격증이 있다고 실력을 인정해주는 것도 아니며, 연봉이 높아지는 것도 아니기 때문에 의미가 없다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절대 그렇지 않습니다.
자격증을 취득하면 좀 더 체계적이고 상세하게 배울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모든 자격증에는 기본 이론이 있습니다. 그 이론을 통해서 좀 더 체계적으로 이해의 폭을 넓힐 수 있습니다.
이론이 실제 경험에 도움이 안된다고요? 그렇게 생각했다면 정말 실력이 없는 분입니다. 반성하셔야 합니다. 좀 더 깊이 있게 들여다 보려면 반드시 이론이 필요합니다. 자격증은 그러한 이론을 쌓는데 상당한 도움을 주는 방법입니다.
그리고 자격증이 아무 도움이 안된다고 하지만 없는 것보다는 있는 것이 좋습니다. 적어도 어떤 분야에 관심을 가지고 있고 공부를 했었다는 티는 낼 수 있습니다.
'IT를 시작하려는 이들에게 > 같이고민하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면접 준비 vs 프로젝트 준비: 취업 준비에서의 우선순위 결정" (0) | 2024.04.08 |
---|---|
개발자 면접을 볼 때 도움이 될 법한 책 (CS지식, 코딩 테스트) (2) | 2023.11.30 |
[IT/취업] 나이 30살에 신입으로 대기업 취업 가능할까? (0) | 2022.12.03 |
[IT] 취업 후에도 IT자격증을 취득해야 할까? (0) | 2022.11.02 |
[IT] 잘하는 것 과 좋아하는 것 중에서 무엇을 선택해야 할까? (0) | 2022.10.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