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공부는 평생하는 것이다

[IT] 인프라 공부하기 (인프라,네트워크)

by IT Daily Life 2022. 11. 5.
728x90
반응형

꼭 인프라 엔지니어가 아니라고 해도 개발를 하다보면 자연스럽게 인프라의 공부 필요성을 느끼게 됩니다. 인프라 환경에 따라서 개발도 달라질 수 있고, DB 쿼리도 달라질 수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인프라 구조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도가 떨어지면 커뮤니케이션을 함에 있어서 어려움을 겪기도 합니다. 업무 중에 직간접적으로 배우는 지식만으로는 한계가 있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우리는 기본적인 IT 인프라에 대해서 공부할 필요가 있습니다. 그러나 수 많은 책 속에서 초보자가 공부하기 좋은 IT 인프라 책이 어떤 것이 있는지 알기가 어렵습니다. 초보자들이 공부할 때 도움이 되는 책을 소개합니다.

 

[그림으로 공부하는 IT 인프라 구조]

 
그림으로 공부하는 IT 인프라 구조
『그림으로 공부하는 IT 인프라 구조』는 IT 인프라를 처음 접하는 독자들은 위한 최고의 입문서! 절판 후 재발간 요청이 꾸준히 들어왔던 스테디셀러! 클라우드를 비롯한 현업의 최신 내용으로 전면 개정! 책 구성에 대한 설명조차 그림일 만큼 비주얼라이징을 통한 확실한 이해와 개념 정리! 본문의 내용을 한층 풍부하게 하는 저자들의 알짜 칼럼 제공한다.
저자
야마자키 야스시, 미나와 케이코, 아제카츠 요헤이, 사토 타카히코
출판
제이펍
출판일
2020.12.09

초보자들이 가장 쉽게 읽을 수 있는 책입니다. 가장 만만한 책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기초적인 책이기 때문에 인프라 엔지니어들은 거들떠보지 않을지도 모릅니다. 그렇기 때문에 인프라에 대해서 잘 모르는 개발자들이나 비전공자들이 보기에 오히려 좋은 책입니다.

인프라에 대한 전반적인 구조와 용어를 이해하는데 도움이 됩니다. 사실 인프라라 어렵게 느껴지는 이유는 용어가 익숙하지 않고 인프라 구조의 전반적인 그림이 머릿속에 그려지지 않기 때문입니다. 어차피 인프라 엔지니어가 아닌 이상에는 상세한 작업 방법까지는 알 필요 없습니다. 하지만 개념은 확실하게 이해해 놓을 필요가 있습니다. 이 책은 용어와 구조를 이해하는데 상당한 도움이 되는 책입니다.

 

[IT 엔지니어를 위한 네트워크 입문]

 
IT 엔지니어를 위한 네트워크 입문
클라우드/데브옵스 시대에 알아야 할 인프라 지식 서버실이 있고, 서버 관리자가 따로 있었던 시대를 지나 클라우드 서비스가 보편화되었다. 클라우드 서비스로 넘어오면서 개발자가 직접 서버의 배포, 테스트를 하게 되었고, 네트워크 배치 등을 직접 하게 되면서 인프라 지식이 필수가 되었다. 클라우드 서비스가 아무리 편리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해도 가상 IP가 무엇인지, DHCP는 왜 써야 하는지, DNS는 어떤 원리로 동작하는지 등을 이해하지 못하면 클라우드 서비스 이용에 어려움을 겪는 시대가 되었다. 개발자에게 익숙한 네트워크 상위 레이어뿐만 아니라 네트워크 하위 레이어의 동작 원리도 확실하게 이해하자. 인프라 지식이 만드는 한 끗 차이 이전에는 웹 개발만 할 줄 알면 되었지만, 클라우드 방식이 보편화되고, 서버도 필요 없는 서버리스 아키텍처까지 넘어오면서 백엔드와 인프라 지식에 대한 필요성이 더 중요해졌다. 웹 페이지의 URL 요청이 인프라에서 전달되는 과정을 이해하는 개발자가 문제가 발생했을 때 해결 방법을 찾아내는 한 끗 차이를 만든다. 개발자도 인프라에 대한 지식이 필요한 시대!
저자
고재성, 이상훈
출판
길벗
출판일
2020.10.30

IT 인프라 하면 크게 서버와 네트워크로 구분됩니다. 서버를 인프라라고 지칭하는 경우도 있기 때문에 인프라와 네트워크로 구분된다고 생각해도 무방합니다. "그림으로 공부하는 IT인프라 구조" 는 책은 인프라(서버) 에 대한 책이었다면 "IT 엔지니어를 위한 네트워크 입문" 은 책은 네트워크에 대한 이해를 돕는 책입니다.

보통 개발자들 입장에서는 인프라 보다 네트워크가 더욱 중요할 수 있습니다. HTTP와 TCP/IP 와 관련된 기능을 개발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인데요. 요즘은 API 개발이 흔해지면서 네트워크에 대한 지식을 더욱 필요로 하고 있습니다. 이 책은 개발자들이 네트워크 지식을 향상 시키는데 도움이 되는 책입니다. 개발자나 인프라 엔지니어를 시작하는 이들에게 추천합니다.

 

[인프라 엔지니어의 교과서]

 
인프라 엔지니어의 교과서
LINE사의 창업 멤버이자 인프라 엔지니어인 사노 유타카가 신입사원들이 인프라에 대해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정리한 책이다. 서버, OS, 네트워크, 스토리지, 가상화, 구매와 상담, 데이터 센터, 운영, MSP 업자 선택 등에 대해 기본 개념과 최적의 선택을 위한 노하우까지 꼼꼼히 다루었다. 또한 CDN, DSR, 관리 등과 같이 대규모 인프라로 확장할 때 고려할 내용을 LINE사에서의 경험에 비추어 생생하게 전달한다.
저자
사노 유타카
출판
길벗
출판일
2014.06.23

"그림으로 공부하는 IT인프라 구조" 는 인프라에 대한 기본 지식에 대한 설명을 하는 책입니다. 반면 "인프라 엔지니어의 교과서" 는 초급 인프라 엔지니어를 위한 책입니다. 그래서 인프라 엔지니어의 업무 라던가 장애 대응 등의 내용도 포함이 되어 있습니다. 또한 네트워크에 대한 내용도 일정부분 들어가 있습니다. 인프라 엔지니어가 알아야할 기본적인 지식을 전반적으로 다루었다고 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

꼭 인프라 엔지니어가 아니더라도 초급 인프라 엔지니어 수준의 지식을 쌓고 싶으신 분이라면 공부하기 좋은 책이라고 생각합니다. 다만, 비전공자나 IT인프라에 대해 기본 개념만 잡고 싶으신 분들에게는 다소 어렵게 느껴질 수 있습니다. 

 

 

이제는 개발자, 데이터 엔지니어, DBA 등 인프라 엔지니어가 아니더라도 IT 인프라에 대해서 기본적인 지식을 쌓을 필요가 있습니다. 클라우드, 쿠버네티스 같은 컨테이너 등 IT인프라 환경도 빠르게 변화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나는 인프라 엔지니어가 아니기 때문에 굳이 인프라에 대해서 공부할 필요가 없어 라고 생각하는 사람은 없겠지요? 위에 소개한 책이 여러분에게 많은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