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인공지능(AI)/AI에 대한 고찰

데이터는 AI의 연료다

by 으허니 2025. 4. 22.
728x90
반응형


인공지능은 ‘학습하는 기계’입니다. 그런데 그 학습은 무엇을 기반으로 이루어질까요? 바로 ‘데이터’입니다. 아무리 정교한 모델도, 양질의 데이터가 없으면 제대로 동작하지 않습니다. 이번 장에서는 데이터가 AI에게 왜 그토록 중요한지, 어떤 데이터가 좋은 데이터인지, 데이터 전처리와 피처 엔지니어링은 왜 필요한지를 살펴봅니다.




1. AI가 왜 데이터를 그렇게 중요하게 여길까?


AI는 사람처럼 경험을 통해 배우지 않습니다. 오직 숫자와 정보로 표현된 ‘데이터’만이 AI의 유일한 학습 재료입니다. 데이터가 많고 다양할수록, AI는 더 정밀한 예측과 판단을 할 수 있게 됩니다.

예를 들어, 고양이와 개를 구분하는 AI를 만든다고 했을 때 단지 몇 장의 이미지를 학습한 AI보다 수천 장, 수만 장의 다양한 사진을 학습한 AI가 훨씬 더 정확하게 동물을 인식할 수 있습니다. 이처럼 데이터는 AI가 세상을 이해하는 방식이며, AI의 ‘지능’을 만드는 핵심입니다.





2. 좋은 데이터 vs 나쁜 데이터


단순히 데이터가 많다고 좋은 것은 아닙니다. 좋은 데이터란 ‘정확하고, 다양하며, 일관된’ 데이터입니다. 다음과 같은 조건을 충족해야 합니다:

* 정확성: 오타, 결측치, 오류가 없는 데이터

* 다양성: 한쪽에 치우치지 않은 다양한 유형의 사례 포함

* 대표성: 실제 사용 환경과 유사한 구성

* 일관성: 동일한 단위, 포맷, 스케일 등


반대로 나쁜 데이터는 오류가 많고, 편향되어 있으며, 중복되거나 불완전한 데이터를 말합니다. 이런 데이터를 학습한 AI는 잘못된 판단을 하게 되고, 현실 세계에 적용했을 때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3. 나쁜 데이터를 넣으면?


프로그래머들이 자주 하는 말이 있습니다:


Garbage In, Garbage Out


이는 ‘잘못된 입력이 들어가면 결과도 잘못된다’는 뜻입니다. 아무리 좋은 알고리즘이라도, 학습에 사용된 데이터가 편향되거나 오류가 있다면, AI는 그런 문제까지 함께 학습하게 됩니다.

예시로, 과거 한 글로벌 기업은 AI 채용 알고리즘을 도입했다가 여성 지원자에 불리하게 작동한다는 문제를 겪었습니다. 그 이유는, 과거 채용 데이터 자체가 남성 위주였기 때문이었습니다. AI는 그 편향된 데이터를 그대로 받아들여 ‘남성이 유리하다’는 결론을 내린 것입니다.

이처럼 데이터가 편향되면 AI도 편향되고, 그로 인해 사회적 불평등이나 차별이 강화될 수 있습니다.




4. 데이터 가공과 전처리

데이터는 처음부터 완벽한 형태로 존재하지 않습니다. 대부분의 원시 데이터(raw data)는 AI가 학습하기에 적합하지 않은 상태입니다. 따라서 데이터는 가공(전처리) 이라는 과정을 거쳐야 합니다.

전처리(Preprocessing) 단계 예시:

* 결측값 처리: 빠진 값 채우기 또는 제거

* 이상치 제거: 통계적으로 이상한 값 제거 (예: 연봉 100억)

* 정규화/표준화: 데이터의 범위를 일정하게 조정 (예: 0~1 사이)

* 텍스트 정제: 특수문자, 중복 단어 제거, 불용어 제거

* 이미지 정제: 노이즈 제거, 사이즈 통일 등

AI 모델이 제대로 작동하려면 이러한 전처리 과정이 반드시 필요하며, 이 작업은 데이터 과학자의 핵심 역할 중 하나입니다.





5. 피처 엔지니어링


피처(feature)란 AI가 데이터를 이해할 수 있도록 만든 ‘속성’입니다. 피처 엔지니어링은 이러한 특징을 선택하거나 생성, 변형하는 과정을 말합니다.

예를 들어 날짜 데이터가 있다면, 단순히 ‘2024-03-17’이라는 값보다는 ‘요일’, ‘주말 여부’, ‘분기’, ‘휴일 여부’ 등으로 쪼개서 제공하는 것이 더 유용할 수 있습니다.

또한 범주형 데이터(예: 지역, 직업군 등)는 수치화해서 AI가 학습할 수 있도록 변환해야 합니다. 이를 위해 원-핫 인코딩(One-Hot Encoding), 라벨 인코딩(Label Encoding) 등을 활용합니다.

피처 엔지니어링을 잘하면, 복잡한 문제를 더 간단하게 풀 수 있고, 모델의 성능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실제로 모델 정확도를 높이는 데 있어서 피처 엔지니어링은 모델 선택보다 더 중요한 경우가 많습니다.





데이터 품질이 AI의 품질이다


AI의 핵심은 알고리즘이 아니라 데이터입니다. 아무리 뛰어난 모델도, 부정확한 데이터를 학습하면 부정확한 결과를 낼 수밖에 없습니다. 우리는 이제 데이터의 중요성과 그 준비 과정이 얼마나 섬세하고 중요한지를 알게 되었습니다.

다음 장에서는 실제로 AI가 어떤 산업과 일상에서 활용되고 있는지, 구체적인 사례를 중심으로 살펴보겠습니다.




728x90
반응형

'인공지능(AI) > AI에 대한 고찰' 카테고리의 다른 글

1편: AI의 역사와 생활 속에서의 활용  (3) 2025.05.28
MCP 쉽게 이해하기  (0) 2025.05.12
AI는 어떻게 학습할까?  (3) 2025.04.20
AI란 무엇인가요?  (2) 2025.04.19
AI 시대의 IT 개발자의 역할  (2) 2025.04.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