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더에게 필요한 덕목은 무엇일까?
리더에게 필요한 덕목은 무엇일까요? 특히 회사 임원이나 지자체장처럼 막강한 권한을 가진 위치에 있는 사람들은 책임감, 정직함, 그리고 상대를 존중하는 태도가 필수적입니다. 문제 상황에서 리더는 책임을 회피하지 않고 이를 해결하려는 태도를 보여야 하며, 거짓 없이 투명하고 진솔한 자세로 조직이나 사회와 소통해야 합니다. 또한, 상대방의 의견을 경청하고 이를 존중하는 태도가 뒷받침되어야 합니다.
하지만 많은 리더들이 이러한 덕목을 제대로 실천하지 못하고 있는 현실입니다. 문제가 발생했을 때 책임을 회피하거나 남탓을 하는 무책임한 태도를 보이기도 하고, 의회 같은 견제 기구의 지적에 대해 설명하거나 잘못을 인정하기보다는 이를 무시하거나 대립에만 몰두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는 결국 리더가 공익보다는 개인의 이익만을 추구하며 이기주의와 생존주의에만 치우친 모습을 가지기 때문입니다.
이처럼 리더가 막강한 권한을 가지고 있음에도 책임감을 다하지 않는다면 조직과 사회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밖에 없습니다. 권한을 올바르게 사용하지 못하고 자기중심적으로 행동하는 리더는 신뢰를 잃고, 결국 조직의 성과와 공동체의 발전을 저해할 수 있습니다.
리더로서 막강한 권한을 가진 사람들은 그만큼 더 큰 책임감을 가져야 하며, 자신의 행동이 조직이나 사회에 미치는 영향을 항상 인지해야 합니다. 언급한 책임감, 정직함, 그리고 상대방을 존중하는 태도는 특히 중요한 덕목이라고 생각합니다.
1. 책임감
리더는 의사결정의 결과에 대한 책임을 질 수 있어야 합니다. 잘못된 결정이나 문제가 생겼을 때 이를 회피하거나 남에게 책임을 전가하는 태도는 신뢰를 잃게 만듭니다. 책임을 인정하고 이를 해결하려는 태도가 조직원들과 시민들에게 신뢰를 줄 수 있는 핵심입니다.
2. 정직함
리더는 정직한 태도로 조직이나 사회와 소통해야 합니다. 잘못을 숨기거나 변명하는 리더는 신뢰를 잃게 되고, 결국 리더십의 정당성도 흔들리게 됩니다. 특히 공직자의 경우 국민에게 투명하고 진솔한 자세를 보여주는 것이 필수적입니다.
3. 존중과 경청
리더는 자신과 다른 의견을 존중하고 열린 자세로 경청할 수 있어야 합니다. 조직 내나 의회와 같은 견제 기관은 본질적으로 리더의 판단을 도와주는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이를 무시하거나 싸움으로 치닫는 태도는 리더십의 수준을 드러낼 뿐입니다.
4. 공익 우선
개인의 이익이나 생존이 아닌 공익을 중심에 둬야 합니다. 특히 지자체장이나 회사 임원처럼 많은 이들에게 영향을 미치는 위치에서는 조직의 비전과 가치를 실현하는 데 집중해야 합니다. 이기주의나 생존주의에 치우친 리더는 결국 공동체의 신뢰를 잃고 파괴적인 결과를 초래할 수 있습니다.
5. 윤리적 리더십
리더는 도덕적 기준을 가지고 있어야 합니다. 본인이 법적으로나 도덕적으로도 떳떳하지 못한 일을 하면서 조직이나 사회의 가치를 강조한다면 설득력을 잃게 됩니다. 윤리적 기준은 리더의 행위뿐 아니라 조직 내 문화를 형성하는 데도 큰 영향을 미칩니다.
6. 문제 해결 능력
리더는 문제 상황에서 감정적으로 반응하기보다는 냉철하고 체계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능력을 가져야 합니다. 비판이나 압박이 가해질 때 방어적이 되기보다는 이를 통해 발전의 기회로 삼을 줄 알아야 합니다.
결국, 리더가 막강한 권한을 가지고 있다고 해서 모든 결정을 독단적으로 내리거나 자신의 이익만을 추구해서는 안 됩니다. 그 권한은 신뢰와 공동체를 위한 책임을 수반하며, 이를 인지하지 못한 리더는 자신뿐 아니라 조직과 사회에도 큰 해를 끼칠 수 있습니다.